사과나무 그림검사는 Gantt와 Tabone이 1998년에 『형식적 요소 미술치료 척도』에서 소개한 투사적 그림검사이다. 이 저서에는 PPAT의 형식적 요소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인 형식적 요소 미술치료 척도의 설명과 함께 PPAT의 평가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Gantt와 Tabone 이전에도 Lowenfeld에 의해 이미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따는 사람을 주제로 한 그림이 사용되었다. Lowenfeld는 Gantt와 Tabone이 제시한 지시어보다 더 구체적으로 그림에 대한 지시를 하였다. 이후 Gantt와 Tabone는 이러한 주제를 발전시켜 지시어와 실시방법을 표준화시켰다. 이 검사는 임상가와 연구자들에게 표준화된 그림과 그것을 연구할 과학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Gantt와 Tabone는 그림의 형식적 특징이 어떻게 개인의 임상적 상태와 DSM-IV 범주에 기초한 정신과적 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지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초기에 이 진단 그림은 환자가 지닌 증상들이 그림에서는 어떠한 특징으로 나타나는지 그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되었다. 개발자들은 환자들이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따는 사람을 그리는 것을 보고 환자의 집단별로 그림에서 상당히 다른 특징을 보이는 것을 관찰하게 되었다.
PPAT 그림에 표현된 요소는 사람, 사과나무, 동작성이다. 이 요소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람의 표현 : 일반적으로 사람 그림은 개인이 자신을 어떻게 지각하는가에 대한 표상이며, 그것은 인물표현을 통해서 자아상을 투사하게 하여 피검자의 무의식 세계의 동기나 욕구를 종합적이고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사과나무의 표현 : 사람 그림이 의식적인 수준의 자신과 환경과의 관계를 반영한다면, 나무 그림에서는 좀 더 심층적인 수준에서의 자기와 자기개념에 부여된 내면 감정이 투사된다. 나무는 개인의 무의식에 있는 감정들을 반영하기 때문에 나무 그림을 통하여 개인적 삶의 내용, 즉 전기적 상황과 개인의 성격을 읽을 수 있다.
셋째, 동작성의 표현 : PPAT에서는 그림 속에서 사람이 사과를 어떻게 따고 있는지에 주목한다. 사과를 따는 목적을 포함한 인물의 표현은 다른 검사에서의 인물 표현보다 동작성을 더 잘 나타낸다. 따라서 사과를 따는 방법과 태도를 통해 그린 사람의 실제적 에너지를 파악할 수 있고, 문제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 나가는지 문제해결 방식을 볼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사과나무 그림 검사 실시방법
○ 준비물 : 20×30cm 흰색 용지 1자, 12색 펠트 심으로 된 마커(빨간색, 주황색, 파란색, 청록색, 녹색, 짙은 녹색, 짙은 분홍색, 자주색, 보라색, 갈색, 노란색, 검정색)
○ 시행절차
검사자가 피검자에게 용지와 마커를 제시하면, 피검자는 용지의 방향을 정한다. 검사자는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따는 사람의 그림을 그려 주세요.” 라고 지시한다. 그림을 그리는 데 걸리는 시간이나 용지의 방향에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으며, 질문에 대해서는 “자유롭게 그리고 싶은 대로 그리면 됩니다.” 라고 대답한다.
사과나무 그림 검사 평가기준
1) 형식척도 : 총 14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0~5점으로 이루어진 척도
○ 채색 정도
그림에서 얼마나 많은 색을 사용했는가를 측정하는 것이다. 형태의 윤곽에만 색을 사용했는지, 형태의 안이나 배경에도 색칠을 했는지를 측정한다.
○ 색의 적절성
그림에 사용된 색이 대상을 묘사하는 데 적절하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다.
○ 내적 에너지
그림을 그리는 데 사용된 에너지의 양을 말한다. 채색의 정도, 선의 질, 공간의 사용 등을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눈이 필요하다.
○ 공간
그림을 그릴 때 사용한 공간의 양을 측정한다.
○ 통합성
구성이 통합되어 있는지를 평가한다. 각 항목이 전체적으로 관련성이 있고, 조화를 이루는 정도를 측정한다.
○ 논리성
제시된 과제에 알맞은 구성의 논리적인 그림인지, 비논리적인 그림인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 사실성
각 항목이 사실적으로 그려진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 문제해결력
그림 속의 사람이 나무에서 사과를 따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것이다. 삶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는 개인의 방법과 능력을 나타낸다.
○ 발달단계
Lowenfeld의 발달단계에 따라 그림의 발달단계를 평가한다.
○ 세부묘사와 주변 환경
대상의 세부묘사와 주변 환경이 얼마나 다양하게 묘사되었는지의 여부를 평가한다.
○ 선의 질
선이 얼마나 잘 통제되었는지를 평가한다.
○ 사람
신체상의 왜곡 여부를 평가한다.
○ 기울기
변환성, 회전성이라 부르기도 한다. 나무나 사람의 표현에 있어서 어느 정도 기울어져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 반복성
보속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하나의 요소를 여러 번 반복적으로 묘사한 경우이다. 점이나 원 등을 계속적으로 그리거나 상동적인 행동을 반복하는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2) 내용 척도 : 그림 속의 내용을 질적으로 해석하는 것. 어떤 색을 사용했는지, 어떤 세부묘사가 있었는지를 구체적으로 평가
평가항목은 총 13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림의 방향, 전체 그림에 사용된 색, 사람의 유무, 사람에 사용된 색, 사람의 성, 사람의 실제적인 에너지, 사람의 얼굴 방향, 나이, 옷, 사과나무, 사과나무의 색, 주변 환경의 묘사, 다른 형태들이다.